• 국민주택채권 의무 매입률과 매입금액 알아보기
  • 국민주택채권 할인율 알아보기 (채권 바로 팔때)

국민주택채권은 대한민국 정부가 공공주택 건설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주택 매매나 분양 받아 소유권 이전등기를 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구매해야하는 채권입니다. 해당 채권은 주로 국민주택기금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민주택채권은 주택 매매 후 소유권 등기를 위해 반드시 구매해야 하는 채권이며, 법적인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당 채권은 구입하는 주택(아파트), 토지 등의 시가표준액에 따라 의무적으로 구입해야하는 비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구입하려는 주택의 시가표준액에 따라 의무적으로 구입해야하는 채권의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주택채권 매입률 (주택 기준)

주택 시가 표준액매입률(서울,광역시)매입률(기타 지역)
2천만원 이상 ~ 5천만원 미만1.3%1.3%
5천만원 이상 ~ 1억원 미만1.9%1.4%
1억원 이상 ~ 1.6억원 미만2.1%1.6%
1.6억원 이상 ~ 2.6억원 미만2.3%1.8%
2.6억원 이상 ~ 6억원 미만2.6%2.1%
6억원 이상3.1%2.6%

주택 공시지가 가격 기준으로 위의 금액에 따라 채권 매입률이 정해집니다. 만약 서울시에 위치 주택 표준 공시지가 가격이 5억원인 아파트를 매매한 경우, 2.6억원 ~ 6억원 구간에 해당하여 주택 가격의 0.26%에 해당하는 채권을 매입해야 합니다.

500,000,000 x 0.026 (2.6%) = 13,000,000(원)

즉, 공시지가 5억원의 주택 구입 시, 의무 매입해야 되는 채권의 금액은 1,300만원입니다.

만약 광역시 내에 위치한 공시지가 10억원의 아파트를 구입하는 경우, 의무 매입 채권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0,000,000 x 0.031 (3.1%) = 31,000,000(원)

주택 구입 비용 외에 추가로 위의 3,100만원의 비용이 채권 비용으로 추가됩니다.

많은 분들이 주택 구입 시, 고려해야되는 많은 비용들(취득세, 이사비용, 부동산중개수수료, 법무비, 채권, 대출시 인지세 및 수수료 등) 중 이 채권 구입 비용을 고려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 채권 금액 또한 적지 않습니다.

공시지가 5억원 주택 구입 시, 취득세도 별도로 내야하는 상황에서 1,300만원 가량의 비용이 추가 지출된다는 사실을 알고서 당황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국민주택채권 바로 매도하기

하지만, 이 채권 구입을 위한 자금을 모두 마련할 필요는 없습니다. 바로 이 주택채권을 사자마자 바로 매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택 매매 시, 주택 채권을 구입한 채로 보유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현재 국민주택채권의 금리는 1%대로 수익률이 좋지도 않기 때문에 보유하고 가기에 좋은 상품이 아닙니다.

국민주택채권은 구입 후, 은행이 지정한 할인된 금액으로 바로 은행에 팔 수 있습니다. 이 할인율은 매일 변동하며, 주택 구입 후, 채권 매도 시점의 할인율을 적용 받아 바로 되팔 수 있습니다. 보통 주택 매매 후, 등기 시점에 채권도 같이 매도합니다. 법무사를 끼고, 주택 매매를 진행하는 경우, 보통 법무사에서 관련 업무를 진행합니다.

국민주택채권 할인율은 매일 변동되며, 할인율이 작을수록 채권의 가치를 더 인정받는 것이기 때문에 매도자에게 유리하고, 할인율이 클수록 매도자에게 불리합니다. 채권의 실제 가치에서 할인적용된 채권의 가치만큼 차액을 은행에 지불합니다.

만약 시가표준금액 5억원의 서울 아파트 구입 시, 의무 구입해야했던 채권 금액이 1,300만원이었는데, 채권 할인율이 8%라면

13,000,000 x 0.08 = 1,040,000원

할인율에 해당하는 104만원만 지불하면 됩니다.

과거에는 채권 할인율이 12% 이상하는 경우도 있었고, 최근에도 장기간 10~11% 대를 유지하였으나, 최근 지속적으로 채권 할인율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현재는 8%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채권 할인율은 매일 변동폭이 큰 경우도 있기 때문에 채권 매도 시점의 할인율을 예상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대략적인 변동 추이나 변동 폭을 통해 매도 시점의 할인율을 가늠해 볼 수는 있습니다.

국민주택채권 할인율 정보는 한국은행이나 주요 시중은행 등의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